
📰 취임 일성부터 화제를 모은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15일 공식 업무를 시작했습니다.
출처: 비즈워치
그는 첫 전체 임직원 미팅에서 “많이 듣고, 중요한 사안은 토론을 통해 결정하겠습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발언은 ‘독단·관료주의’ 지적을 받던 조직 문화 개선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금융시장에는 속도·투명성·소비자 보호가 함께 가야 합니다.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불공정 행위를 엄단하겠습니다.” — 이찬진 원장
이찬진 원장은 1964년생으로, 사법연수원 18기를 수료한 뒤 민변 변호사·국회 입법보좌관을 거쳐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국 선임전문관으로 활동했습니다.
특히 디지털자산 특별법 자문 과정에서 가상자산 거래소 상장·퇴출 가이드라인 초안을 주도하며 업계에 이름을 알렸습니다.
이번 인사는 검찰 출신 전임 원장 이후 5년 만의 ‘변호사 배경 수장’으로, 업계는 규제 절차의 합리성 강화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그가 꼽은 최우선 과제는 ▲가계부채 연착륙 ▲고금리 취약차주 지원 ▲핀테크·빅테크 감독정비 ▲금융소비자 피해 최소화입니다.
출처: Threads(@chanjin65)최근 SNS를 통해 “트위터·쓰레드 모두 선의의 경쟁 속에서 가치가 생긴다”는 메시지를 남기며 ‘소통형 리더’ 이미지를 굳혔습니다.
시장 반응은 빠릅니다. 국내 5대 금융지주 관계자는 “토론 기반 의사결정 선언은 내부 보고 프로세스 단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반면 일부 금융노조는 “편면적 구속력 확대 논의로 영업 위축이 우려된다”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습니다.
글로벌 규제 흐름도 변수입니다. 미국 SEC·EU ESMA가 ‘소비자 보호’와 ‘혁신 장려’를 균형 있게 조율하고 있어, 이찬진 원장 역시 유사한 스탠스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문가들은 그가 자본시장법·금소법 개정을 주도할 경우, 신탁·ETF·가상자산 영역에서 ‘테스트베드 + 패스트트랙’ 모델이 등장할 것이라고 내다봅니다.
실무진은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첫째, 데이터 제출 체계를 강화해 ‘실시간 리포팅’ 요구에 대비해야 합니다. 둘째, 내부통제 모범규준을 원안보다 선제적으로 반영해 검사 리스크를 낮춰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금융소비자는 ‘민원·분쟁조정 원스톱 포털’ 구축 계획을 주시하면 좋습니다. 분쟁 처리기간 단축과 피해구제 범위 확대가 예고돼 있기 때문입니다. 😊
결론적으로, 이찬진 원장이 제시한 ‘경청·토론·엄단’ 3대 키워드는 금융시장에 투명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끌어올릴 가능성이 큽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금융정책 동향·시장 파급효과를 면밀히 분석해 독자 여러분께 신속히 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