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hoto.jtbc_.co_.krnewsjam_photo20250702f8e48687-bac6-46be-b1a1-86ea6ec45d24.jpg

📰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보유한 ‘아파트 4채’ 이슈가 정치권을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


장동혁 대표 기자회견
사진 출처: 조선일보

24일 더불어민주당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부동산 싹쓸이 특위위원장 아니냐”는 강도 높은 비판을 제기했습니다. 핵심 쟁점은 장동혁 대표가 서울‧경기‧충청권에 걸쳐 아파트 4채와 오피스텔, 토지를 보유했다는 점입니다.

문금주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국민 삶을 외면한 채 부동산 규제 완화만 외치더니 결국 ‘내 집 챙기기’였냐”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에 대해 장동혁 대표는 25일 오전 국회 기자회견에서 반격했습니다. 그는 “제 전체 부동산 가액은 8억5천만 원1으로, ‘분당’ 고급 아파트 한 채와도 바꾸겠다”라며 “허위 프레임”이라 주장했습니다.

실거주 목적의 구로 아파트, 모친이 거주하는 고향 주택, 국회 인근 오피스텔, 그리고 지역구 의정활동을 위한 보령 아파트일 뿐입니다.” — 장동혁 대표

그는 또한 “투기 목적의 다주택자가 아니다”라며 ‘실수요자’임을 강조했습니다.


논란의 배경은 지난 15일 정부가 발표한 ‘10·15 부동산 대책’입니다. 국민의힘은 세제 완화‧대출 규제 축소를 요구했고, 민주당은 “다주택자 배불리기”라고 공격하며 맞불을 놨습니다.

특히 장동혁 대표가 공식석상에서 “규제 완화가 서민 주거 안정을 돕는다”는 취지를 여러 차례 밝힌 바 있어, 개인 보유 재산이 도마에 올랐습니다.

정치권 관계자는 “부동산은 민심과 직결된다”면서 “다주택 논란이 자칫 2026년 총선의 뇌관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한편 공직자윤리법상 국회의원은 재산을 매년 공개합니다. 장동혁 대표 신고 내역을 보면 아파트 공시가격 합계가 7억 원대, 나머지 토지‧건물 등이 1억 원 남짓으로 나타납니다2.

전문가들은 “공시가격과 실거래가 차이가 크므로 실질 가치 검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 세무‧감정 전문가 김지현 회계사는 “단순 가액보다 보유 목적취득 경위를 종합적으로 살펴야 한다”면서, 투기 여부 판단에는 보유 기간거주 사실이 핵심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여야 간 이중 잣대 논쟁으로 비화될 조짐입니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자당 의원 다주택 문제를 먼저 털어야 한다”는 자성론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역시 “내로남불” 프레임으로 역공을 준비 중입니다. 지도부 관계자는 “정책 경쟁보다 신상털기식 공방은 민심 이탈을 부른다”는 입장입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정치권이 투명한 정보 공개실효성 있는 규제로 논란을 잠재워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다주택자 보유세, 임대사업자 등록제, 실거래가 공개 확대 등 제도 손질이 거론됩니다.

또한 시민단체들은 “고위공직자의 부동산 백지신탁 제도 도입”을 요구하며 청원운동에 나섰습니다.


🔍 향후 관전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정감사에서의 추가 자료 공개 여부
공직자윤리위원회 심사 결과
③ 2026년 총선 공천 기준에 ‘다주택 제한’이 반영될지 여부

정치 컨설턴트 박민수 대표는 “장동혁 대표가 개혁 드라이브를 걸어 이미지 반전에 성공할지, 아니면 여론 역풍을 맞을지가 승부처”라고 분석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유권자들은 실거주·투기 목적을 꼼꼼히 따져보고, 각 당의 구체적 주거 정책을 비교해야 합니다.

정치권이 정책 경쟁 대신 흥미 위주 공방에 매몰될 경우, 결국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갈 것입니다. 이번 ‘장동혁 아파트 4채’ 논란이 정책적 논의로 발전하길 기대합니다.

라이브이슈KR ✔️


1) 취재 당시, 장동혁 대표가 제시한 공시가격 합계 기준
2) 국회공보 2025년 재산신고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