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0년대 서울 재개발지 일대를 공포로 몰아넣은 ‘적준 용역’의 실체가 최근 다시 조명되고 있습니다. 🏚️
당시 이들은 밤마다 철거촌을 급습해 주민을 끌어내고 주거 공간을 파괴했습니다. 주민들은 “도시 개발보다 사람이 먼저”라는 절규를 남겼습니다.
출처: bnt뉴스
‘적준’이라는 명칭은 당시 용역업체 이름이자 조직원들의 붉은 머리띠에서 비롯됐다고 전해집니다. 🔨
이들은 수백 명씩 투입돼 쇠파이프·각목을 휘둘렀고, 초등학생을 계단 아래로 던지는 사건1까지 벌어졌습니다.
“새벽 4시, 문을 부수고 들어와 ‘나가라’고 외쳤습니다. 몸에 용 문신이 선명했죠.” — 전농동 주민 증언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는 “사라진 나의 집, 그리고 적준” 편을 통해 당시 참상을 세밀하게 복원했습니다.
방송에 출연한 가수 윤은혜는 “베이비복스 시절 염산 물총과 날계란 공격을 당했다”며, 폭력의 실체를 듣고 눈물을 흘렸습니다. 😢
출처: 싱글리스트
도심 재개발은 당시 ‘뉴타운’ 바람과 맞물려 급속히 진행됐습니다. 그러나 공권력은 용역 폭력을 사실상 방조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경찰은 현장에 출동하고도 “민사 문제”라며 물러났다는 증언이 남아 있습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사적 폭력이 개발 사업을 앞당기는 음지의 수단으로 활용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적준’ 조직 일부는 이후 사명을 바꿔 다원그룹으로 재편됐고, 2021년 광주 학동 붕괴 참사 하청계약 의혹까지 받았습니다.
출처: SBS STORY YouTube 캡처
전문가들은 “도시 정비 사업에 대한 인권 영향 평가와 철거 관리구역 지정이 의무화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2010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으로 무력 철거 금지 조항이 삽입됐지만, 현장 목소리는 “여전히 사각지대가 많다”고 지적했습니다.
서울시·국토부는 최근 ‘사전 인권점검’과 ‘24시간 CCTV 의무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피해자 지원단체 ‘철거민연대’는 “주거권을 헌법적 기본권으로 명시해야 한다”며 개헌 논의까지 촉구했습니다.
🏗️ 적준 용역 사건은 개발 이익 뒤편에 가려진 폭력을 드러낸 상징적 사례입니다. 도시 재생이 사람 중심으로 전환될 때까지, 과거의 교훈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글·구성 │ 라이브이슈KR 이현수 기자
주: 1 싱글리스트 ‘적준 용역’ 충격적 범죄 기록(2025.09.11)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