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향사랑기부제는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며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2023년 1월 전면 시행됐습니다.
이 제도는 개인이 주소지 밖 지자체에 연간 500만 원까지 기부할 수 있으며, 10만 원까지 전액, 그 초과분은 16.5%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합니다.
기부자는 기부액의 최대 30% 상당 지역 특산품을 답례품으로 받을 수 있어 소비자 만족도도 높습니다.
“세액공제와 답례품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입니다.” – 서울 강남구 직장인 박모 씨
최근 경주시·평창군·동해시 등 여러 지자체가 축제 현장과 기업체에 찾아가는 홍보부스를 설치하며 참여 열기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농민신문
이미지 출처: 농민신문
실무적으로 기부는 고향사랑 e음 누리집·앱, NH농협 전국 창구에서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플랫폼에서는 지자체별 답례품 목록, 누적 모금액, 기부금 사용 계획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프레시안
이미지 출처: 프레시안
2025년 들어 연말정산 시즌과 맞물려 각 지자체는 ‘10만 원 이상 기부 시 추가 사은품’ 이벤트를 앞다투어 진행했습니다.
예컨대 동해시는 11월 3일부터 6주 동안 10만 원 이상 기부자에게 지역 커피교환권을, 광주 동구는 파리바게뜨 모바일 쿠폰을 증정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제도 시행 3년 차를 맞아 답례품 품목 확대와 기부 한도 상향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선 지역별 스토리텔링 강화, 청년층 타깃 소셜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전국매일신문
이미지 출처: 전국매일신문
행정안전부는 2024년 말 기준 누적 기부액 3950억 원, 참여 지자체 243곳 중 90%가 목표액의 70% 이상을 달성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농촌형 지자체는 기부금을 귀농·귀촌 인프라, 청년 주거, 지역 축제 재투자 등으로 활용해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해외 동포도 외국인 등록번호를 통해 기부가 가능해져 모금 기반이 더욱 확대됐습니다.
또한 지방소멸 위험 지역에는 비주거자 세액공제 한도를 20% 상향하는 특별조치도 추진 중입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최근 국감에서 “플랫폼 독점 구조 개선”과 “모금 투명성 강화”를 주문해 제도 보완에 탄력이 붙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는 “고향사랑기부제는 단순 모금이 아닌 지역 브랜드 마케팅의 장”이라며, 기부자도 소비자 관점에서 지속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