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김예성 씨가 특검 출국금지 조치를 받으면서 정치권이 술렁이고 있습니다.


특검법에 따라 꾸려진 김건희 특검팀은 8일 김예성 씨를 핵심 참고인으로 특정하고 심야 출국금지를 단행했습니다.

JTBC 단독 화면ⓒJTBC 화면 캡처

그가 운영해 온 솔앤인은 설립 4년 차의 자본잠식 위기 기업이었지만, 불과 몇 달 새 184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대기업 4~5곳이 펀드 형태로 자금을 집행했고, 배후에 ‘제3의 실세’가 있었다” – 특검 관계자

시장에서는 해당 ‘실세’를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와 연결 짓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김예성 씨는 “김 여사 모녀의 집사”로 불리며 각종 사업·인맥 관리 창구 역할을 해 왔다는 의혹을 받아 왔습니다.

특검이 주목한 핵심 쟁점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① 허위 회계로 보이는 투자 구조
② 대기업과의 ‘스폰서 계약’ 성격
③ 청와대 라인과의 직·간접 로비


7일 밤 인천공항 CIQ에서는 출국 시도 정황이 포착됐고, 국토부·법무부가 공조해 신속히 적색 알림을 발령했습니다. 이에 따라 여권·항공권이 압수돼 신병 확보가 이뤄졌습니다.

법률가들은 형법 제129조 뇌물죄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기합니다.

반면 대통령실 관계자는 “사적인 경제 활동으로 확인된 바 없다”라며 정치 공세로 규정했습니다. 여야 공방도 거세집니다.

JTBC 후속 보도ⓒJTBC 뉴스

증권가에서는 관련 투자사가 코스닥 협력사라는 점에 주목하며, 테마주 급등락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 여론조사(리얼미터·8일) 결과, ‘특검 수사 확대 필요’ 응답이 71.4%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출국금지 정당’ 의견(68.9%)과 유사한 흐름입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9일 광화문에서 “집사 게이트 전말 공개” 촉구 집회를 예고했습니다.

전문가 시선
김예성 씨가 단순 ‘집사’에 그쳤다면 대기업이 투자할 동기 자체가 없다. 정치권 렌즈로 사건을 들여다봐야 한다.” – 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

향후 일정은 ① 10일 특검 소환 조사 ② 12일 증권선물위 임시회의 ③ 15일 국회 운영위 긴급현안 질의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 결국 열쇳말은 투명성입니다. 184억 원의 흐름과 실세의 그림자가 규명돼야만 국민적 의혹이 해소될 것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김예성 특검 수사의 모든 변화를 계속 추적·보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