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이슈KR 단독 🔍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의원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축의금 명단’이 적힌 텔레그램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면이 포착됐습니다.
📸
이미지 출처=조선일보
사건은 26일 오후 본회의 도중 터졌습니다. 현장 카메라에 대기업·언론사·피감기관 이름과 ‘100만원·50만원·30만원’ 등의 금액이 적힌 텔레그램 화면이 그대로 잡혔습니다.
“들어온 돈은 모두 돌려주라” – 최민희 의원실 해명
의원실은 “상임위 관련 기관 및 관례 이상 금액을 돌려주도록 지시한 메시지였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일부 명단 옆에는 ‘返’ 표시가 달려 있었습니다.
⚖️ 그러나 국민의힘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명백한 이해충돌이자 김영란법 위반 소지”라고 지적하며 국회 윤리특위 회부를 요구했습니다.
전문가들도 의견이 엇갈립니다. 한 국회 윤리자문위원은 “돌려주려 했다는 의도만으로 면책되긴 어렵다”면서도, 또 다른 변호사는 “실제 반환 여부가 핵심”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김영란법청탁금지법은 공직자에게 ‘3·5·10 규정’을 적용합니다. 결혼식 축의금 한도는 10만원, 직무관련성이 인정될 경우 100만원 이하라도 처벌 가능성이 열려 있습니다.
만약 위반이 확정되면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으며, 과태료 징수도 병행됩니다.
정치권 파장은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이상경 국토부 차관 사퇴, 추미애 전 장관 발언 논란까지 겹치며 여야 모두 ‘도덕성 프레임’에 민감해진 상황입니다.
💬 SNS에는 “투명하게 공개하라”는 요구와 “야당 죽이기”라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관련 키워드 ‘최민희’, ‘축의금’은 포털 실시간 검색 상위권을 장식했습니다.

이미지 출처=한겨레
지난 19·22대 국회의원을 지낸 최 의원은 2022년 남양주시장 선거에서 고배를 마신 뒤, 이번 국회에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으로 복귀했습니다.
정치평론가들은 “차기 총선을 1년여 앞두고 벌어진 도덕성 논란은 여야 지지층 결집에 큰 변수”라고 분석합니다.
마지막으로, 국회 관계자는 “모범이 되어야 할 위원장이 논란 중심에 선 만큼, 즉각적인 사실관계 공개와 윤리위 자진 회부가 필요하다”고 꼬집었습니다. 향후 감사원·국회 윤리특위 조사 결과가 주목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