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9일 아침, 서울 지하철 1호선 시위가 남영역과 용산역을 중심으로 벌어지며 수도권 출근길이 크게 흔들렸습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는 오전 8시 9분께 남영역에서 ‘64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행동을 전개했고, 열차는 약 3분간 정차 후 서행했습니다.
사진=조선일보 제공
코레일은 즉각 “하행선 배차 간격이 최대 10분까지 벌어졌다”며 비상 운행 체계에 들어갔습니다.
“장애인도 이동하고 교육받고 노동할 권리가 있다” — 전장연 구호
시민 A씨(32)직장인은 “1호선 시위를 이해하지만, 지각이 불가피해 불안했다”고 토로했습니다.
반면 B씨(28)사회복지사는 “장애인 이동권은 사회적 약속”이라며 시위 취지에 공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번 1호선 시위는 당초 예고된 5호선 광화문역 대신 1호선으로 장소를 바꾼 ‘기습 시위’였습니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사전 협의 부족으로 돌발 지연이 발생했다”면서도 “안전을 최우선으로 열차를 운행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전장연은 ▲장애인 이동권 예산 증액 ▲특수학교·거주시설 탈시설 로드맵을 핵심 요구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다음 달 ‘2026년 복지부 예산안’ 심사를 앞두고 있어, 예산 공방이 다시 뜨거워질 전망입니다.
사진=세계일보 제공
교통사회연구원 김예린 연구위원은 “저상열차 도입률이 42%에 그치는 현실에서 시위는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습니다.
실제로 도쿄·런던 등 주요 도시 지하철은 플랫폼 간 레벨 차를 2㎝ 이하로 유지해 휠체어 탑승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서는 경사로·리프트 고장으로 역무원 호출 시간이 평균 9분을 넘겨, 이동권 격차가 뚜렷합니다.
SNS에서는 “필요악”이라는 의견과 “민폐 시위”라는 비판이 엇갈리며 해시태그 #1호선_시위, #장애인_이동권이 트렌딩됐습니다.
전장연은 오는 30일에도 시내버스 체험 탑승 시위를 예고해, 퇴근길 교통 대란 우려가 제기됩니다.
교통 전문가들은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려면, 정부·서울시·장애계가 상설 협의체를 만들어 로드맵을 이행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 한편 코레일은 노선 우회를 원하는 승객에게 4호선‧9호선 환승을 안내하며, 실시간 알림 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1호선 시위가 던진 메시지는 명확합니다. 장애인 이동권은 복지가 아닌 권리이며, 지하철은 모두의 ‘길’이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