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데라(ERA)가 7월 18일 새벽 국내외 주요 거래소에 동시 상장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폭발하고 있습니다.
업비트·빗썸·바이낸스·바이빗 등 6개 거래소가 일정을 확정했으며, 특히 원화·BTC·USDT 3종 마켓을 모두 지원한다는 점이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Unsplash
본 기사에서는 칼데라 코인의 기술적 특성, 토큰 경제, 상장 일정, 투자 유의점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칼데라는 ‘확장성·보안·탈중앙성 세 토끼를 잡는 차세대 이더리움 롤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 칼데라(ERA)란 무엇입니까?
칼데라는 이더리움 메인넷 위에 구축된 모듈형 롤업 생태계입니다. 개발자는 몇 번의 클릭만으로 전용 L2 체인을 생성할 수 있으며, Celestia DA·EigenLayer AVS 등 다양한 데이터 가용성(DA)·보안 옵션을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구조는 가스 비용을 최대 95% 절감하면서 TPS(초당 처리량)를 크게 끌어올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2. 토큰 이코노미 & 배분 구조
총 발행량은 10억 ERA이며, 초기 유통 물량은 8% 수준입니다. 상세 배분은 다음과 같습니다프로젝트 백서 기준.
- 생태계 인센티브: 35%
- 팀 & 어드바이저: 20% (48개월 베스팅)
- 전략적 투자자: 15%
- 커뮤니티 에어드롭: 10%
- 리퀴디티·마켓메이킹: 8%
- 리저브: 12%
3. 상장 일정·지원 마켓 총정리
7월 18일 00:30 (KST) 빗썸 원화 마켓 상장을 시작으로, 02:00 업비트, 03:00 바이낸스, 05:00 바이빗 순으로 거래가 개시됩니다. 동시 상장에 따라 초기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가격 전망 & 변수
IEO 기준가는 0.08 USDT, 초기 시가총액은 약 8,000만 달러입니다. Celestia·Arbitrum 등 경쟁 L2의 유통 시총과 비교하면 상승 여력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지만, 단기 조정 위험도 동시에 존재합니다.
5. 기술적 차별화 포인트
① Rollup-as-a-Service(RaaS): API·SDK 형태로 배포돼 웹2 개발자도 손쉽게 L2를 만들 수 있습니다.
② Sequencer 분산화: PoS 검증자 네트워크 도입으로 탈중앙성과 보안을 모두 강화했습니다.
③ ZK-Prover 호환: 장기적으로 ZK↔OP 혼합 구조를 지원, 기능 업그레이드를 예고했습니다.
6.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할 리스크
베스팅 해제 일정·유동성 공급 정책·스테이킹 수익률 변동 등은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또한 해외 거주자 대상 KYC 요건이 상이하므로 사전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7. 에어드롭 참여 방법
칼데라는 ‘HODLer Airdrop’을 통해 바이낸스 BNB 예치자에게 최대 6,000,000 ERA를 지급합니다. 7월 25일 23:59 UTC 스냅샷 이전까지 BNB 단순·고정 예치 상품을 보유하면 자동 참여가 완료됩니다.
8. 온체인 데이터 체크포인트
디스코드 가입자 수 14만 명, 깃허브 별 3.1k, 주간 활성 지갑 28k로 커뮤니티 지표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만 TVL(총예치가치)은 2,700만 달러로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
9. 전문가 코멘트
크립토퀀트는 “실사용 기반 수수료 소각 모델이 도입될 경우 토큰 디플레이션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10. 결론 및 투자 전략
칼데라(ERA)는 모듈형 롤업 트렌드의 핵심 플레이어로, 중장기 성장성은 유효합니다. 그러나 동시 상장 초반엔 단기 급등·급락이 불가피하므로 단계적 분할 매수, 스테이킹 기반 장기 보유 전략이 권장됩니다.
투자자는 반드시 프로젝트 백서, 상장 공시, 베스팅 스케줄을 면밀히 검토한 뒤 자신의 리스크 한도 내에서 대응해야 합니다.
📌 면책조항 본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특정 코인 매수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