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hoto.jtbc_.co_.krnewsjam_photo20250702f8e48687-bac6-46be-b1a1-86ea6ec45d24.jpg

🔍 최근 정치권에서 “캄보디아 군사작전”이라는 표현이 공공연히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한국인을 노린 납치·감금·살인사건이 늘어나면서 불거진 강경 대응론입니다.


사건의 발단은 20대 한국인 대학생이 프놈펜 외곽에서 고문치사를 당한 사실이 알려지면서였습니다. 외교부 집계2025.10.13에 따르면 올해만 330건의 우리 국민 피해가 보고됐습니다.

⚠️ 여야 의원들은 국정감사장에서 “필요하다면 군사작전을 해야 한다”고 일제히 목소리를 높였습니다.정무위 회의록

“2011년 아덴만 여명작전처럼 캄보디아 군사작전으로 국민을 구출해야 한다.” — 강민국 의원

하지만 전문가들은 국제법·동남아 정세를 이유로 현실성이 낮다고 지적합니다. 캄보디아는 엄연한 주권국이며, 무력 투입 시 침공 논란이 불가피하다는 것입니다.


국회 국정감사 현장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방부 내부 문건에 따르면 특수전 사령부는 가상 시나리오 검토 단계일 뿐, 실제 투입은 “외교·치안 공조가 전제”라는 단서를 달았습니다.

한편 캄보디아 정부는 “타국 군사 작전은 불가”라며, 공동수사팀(JIT) 구성을 제안했습니다. 이는 한국 경찰·검찰·외교부가 현지 치안당국과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실용 정보를 찾는 독자라면 무엇보다 여행경보 단계에 주목해야 합니다. 현재 외교부는 수도 프놈펜 일부 지역을 여행자제(3단계), 시아누크빌 일대는 출국권고(4단계)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 안전 수칙
① 현지 구인광고·투자설명회는 철저히 검증합니다.
② 여권·휴대폰을 빼앗기는 순간 ‘디지털 속박’이 시작되니 즉시 대사관 긴급전화(+855-12-634-651)로 신고합니다.

국가정보원 관계자는 “사이버 취업사기로 시작해 암호화폐·불법도박 콜센터로 강제 투입되는 사례가 급증했다”고 경고했습니다.

캄보디아 현지 강제노동 단지
▲ 사진 출처 : 서울신문


그렇다면 “군사작전”은 실전에서 어떻게 전개될까요?
캄보디아 정부 승인 → ② 공중·해상 진입로 확보 → ③ 합동특수임무단 투입 순으로 요약되지만, 승인 단계부터 난관입니다.

다자외교 차원에선 아세안·UN 협의가 중요합니다. 무력 대신 ODA 중단·비자 제한 같은 경제·외교적 압박 카드가 거론됩니다.

경제계 역시 촉각을 곤두세웁니다. 우리 기업 330여 곳이 캄보디아 경제특구에 진출해 있어, 자칫 캄보디아 군사작전이 현실화되면 투자 리스크가 급격히 커질 수 있습니다.


결국 해답은 “외교적 통로를 최대한 활용하되, 최악의 상황도 대비”라는 양면 전략에 있습니다. 정부는 ‘종합대책 TF’를 꾸려 군사·외교·치안·사이버 4개 분과를 가동했습니다.

📝 캄보디아 군사작전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아직 낮습니다. 그러나 정치권·여론이 강경론을 키우고 있어 향후 여행경보·ODA 정책·한·캄 경찰공조가 빠르게 변동할 전망입니다.

독자는 “과잉 대응과 안이함” 사이에서 정부가 어떻게 균형을 잡는지 주시해야 합니다.

라이브이슈KR는 상황이 진전되는 대로 캄보디아 군사작전 관련 후속 보도를 이어가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