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이브 주가, 3거래일 연속 하락…무슨 일이 있었습니까?
4일 오후 2시 48분 기준 하이브 주가는 ▲27만6,500원으로 전일 대비 4.8% 급락했습니다.
방시혁 의장의 자본시장법상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 소환 조사 소식이 투자심리를 급랭시켰습니다.
🔍 사건 경과와 주가 흐름
7월 2일 하이브(352820)는 30만 원 지지선을 내준 뒤 장중 -5.9%까지 추락했습니다.
3일에는
⚖️ 방시혁 의장 조사 이슈
금융감독원·경찰은 2020년 IPO 과정에서 투자자 기망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4000억 원 규모의 비상장 지분 거래가 핵심”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 펀더멘털은 어떻습니까?
하이브의 2024년 연결 매출은 2.17조 원으로 YoY 21%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은 8.9%로, 비용 증가 탓에 2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K-IFRS 기준*
🎤 주요 아티스트 파이프라인
BTS 컴백이 2025년 하반기로 예상되며, 투어·앨범·굿즈 매출 반등이 기대됩니다.
세븐틴·뉴진스·르세라핌 등 멀티 레이블 전략이 매출 다변화를 견인했습니다.
🌍 글로벌 사업 확대
하이브는 위버스(Weverse) MAU 1,000만 명을 넘기며 팬 플랫폼 선두를 유지했습니다.
미국 SB 프로젝트 인수 후 저스틴 비버·아리아나 그란데 등 Pop IP와 시너지를 모색 중입니다.
⚠️ 리스크 체크리스트
1) 사법 리스크 장기화 시 프리미엄 밸류에이션 축소 우려가 큽니다.
2) 달러 강세로 인한 해외 로열티 변동성도 주의해야 합니다.
💬 증권가 코멘트
NH투자증권은 “하이브 주가 하락은 일시적 공포”라며 목표주가 38만 원을 유지했습니다.
반면 모건스탠리는 “조사 결과가 금융당국 제재로 이어질 경우, 밸류에이션 10~15% 디스카운트가 불가피”하다고 경고했습니다.
💡 개인투자자 체크포인트
① 연말 BTS 재가동 일정※군 복무 종료 ② 플랫폼 수익성 전환 ③ 사법리스크 해소 세 가지를 핵심 촉매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K-콘텐츠 ETF 내 편입 비중(8.4%)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기술적 반등 시그널은?
일봉 기준 RSI 29로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다만 26만 원 대의 갭 하락 지지선이 무너지면 추가 조정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ESG·거버넌스 이슈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해 사외이사 비율 60% 확대와 내부 통제 개선안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투자자 관점에서 거버넌스 리스크 해소 계획은 장기 밸류에이션 핵심 변수입니다.
🔮 결론 및 전망
하이브 주가는 단기 변동성이 확대됐지만, 글로벌 K-POP 지배력·플랫폼 파워는 여전히 견조합니다.
사법 리스크와 BTS 컴백 타이밍이 해소되는 순간, 30만 원선 회복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