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정역 화재 현장 연기 모습
이미지 출처: YTN YouTube


🔥 합정역 화재 사건이 서울 시민들에게 크나큰 충격을 안겨주었습니다. 2호선과 6호선이 만나는 환승역 합정역 승강장이 순식간에 연기로 뒤덮인 것은 1일 오후 4시 10분경이었습니다.

🚨 역사 내 방송에서는 “즉시 대피하십시오”라는 경고가 연이어 흘러나왔습니다. 승객들은 손수건과 옷으로 코를 막은 채 에스컬레이터를 뛰어올라 지상으로 피신했습니다.

승객 대피 장면
이미지 출처: JTBC News


사고 원인은 승객이 휴대하던 전동킥보드용 배터리였습니다.

1화장실에서 경보음을 듣자마자 비상문으로 나와 달렸어요.” – 사고 목격자 허자인 씨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한 불꽃이 고열·유독가스를 동반하며 짙은 흰 연기를 뿜어냈습니다.

서울종로소방서는 즉시 ‘수조 침수’ 방식으로 배터리를 급냉했고, 20분 만에 완진했다고 밝혔습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역사 내부의 일시적 폐쇄와 30여 분간의 무정차 통과가 불가피했습니다.

소방대원 진화 작업
이미지 출처: KBS 뉴스


지하철 배터리 화재는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불과 닷새 전에도 7호선 반포역에서 유사한 사고가 보고됐습니다. 전문가들은 리튬이온 배터리 내구 수명이 다했거나, 비정품 충전기 사용으로 내부 압력이 급상승할 때 화재 가능성이 커진다고 설명합니다.

서울교통공사는 “전동킥보드·전동휠 배터리는 반입 자체를 제한하거나 전용 보호 가방 사용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국토교통부는 대용량 배터리 취급 가이드라인 개정에 착수했습니다. 열 폭주(thermal runaway)를 막기 위한 전해액 난연성 강화 기준이 핵심입니다.

열차 무정차 통과 안내 전광판
이미지 출처: MBC News


시민 안전을 위해서는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지하철 내 전자기기 배터리를 휴대할 때는 다음 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 배터리가 과열될 경우 즉시 전원을 차단하고 이동 중 충전을 삼갑니다.
  • 셀 테이프·절연캡으로 단자를 보호해 합선을 방지합니다.
  • 불필요한 고출력 충전기 사용을 피하고 정품 충전기를 이용합니다.
  • 배터리 손상이 의심되면 전문 업체에서 폐배터리 수거 절차를 밟습니다.

보험업계는 “승객 과실이 명확할 경우 운수업자배상책임보험 대상이 제한될 수 있어, 운전자와 승객 모두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끝으로, 전문가 강명훈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다음과 같이 강조했습니다.

배터리 안전관리는 개인의 선택이 아닌 사회적 의무입니다. 안전불감증이 반복되면 대형 참사는 시간문제입니다.”

🚈 이번 합정역 화재는 크게 번지지 않았지만, 지하 공간 특성상 미세 화재라도 공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관리 습관을 재점검하고, 지하철 승강장 내 비상 대피 절차를 숙지한다면 유사 사고 때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지하철 안전 이슈를 면밀히 추적해 시민 여러분께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